사망보험금 유동화에 이어서 보험업계에서 소소금 두 번째 정부지원 정책으로 상생보험상품을 개발하여 무상공급을 추진한다고 합니다. 소상공인, 취약계층지원 및 저출산극복을 위한 무상 보험상품으로 추진내용 소개해 드립니다.
◐ 어떤 정책인가요?
금융위원회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, 그리고 저출산 극복을 위해 상생 보험상품을 무상 공급하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.
- 총 300억 원 규모 : 생명보험 150억 원 + 손해보험 150억 원
- 전국 17개 시·도 지자체와 협력
- 2025년 8월 26일 공식 발표 : 무료 보험 혜택으로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!
◑ 지원 대상 및 주요 혜택
1. 소상공인 민생 회복
① 신용보험
- 사망·장해 발생 시 대출금 상환을 보험금으로 대체
② 상해보험
- 소규모 사업장 대상 단체 상해보험 제공
③ 기후보험
- 폭염, 집중호우로 인한 소득손실 보전
2. 소상공인, 취약계층 재난 대응
④ 풍수해보험
- 태풍, 홍수 피해 시 침수·시설 피해 등 보상
⑤ 화재보험
- 전통시장, 골목형 상점 화재 시 보상
3. 저출산 극복 지원
⑥ 다자녀 안심보험
- 다태아·둘째 이상 자녀 출산 가정 대상
- 출생 후 2년간 중증질환, 응급실 내원비 등 보장
◐ 마련된 3개 상품 안 혜택 예시
지원 항목 | 가입 가능 인원 | 주요 보장 내용 |
단체 상해보험 | 5,000~7,500명 | 상해사망, 3대 질병 등 |
풍수해보험 | 30,000명 | 태풍, 홍수 피해 보상 |
다자녀 필수보장 | 8,000명 | 응급실, 입원일당, 자녀 배상책임 등 |
◑ 지자체 선정 방식
-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상품을 직접 선택
- 공모 및 제안 방식으로 지원 대상 지자체 선정 (2026년 초 예정)
- 지역별 상생기금 비율 차등 지원
🔗 참고자료
- 출처 : 금융위원회 공식 자료
- 자세한 정책 문의 : 금융위원회 보험과(02-2100-2961), 생명보험협회 전략기획본부(02-2262-6624), 손해보험협회 기획관리본부(02-3702-8530)
종신보험 사망보험금 연금 전환(유동화) 수령 정리
노후 준비에 있어 가장 큰 고민은 은퇴 이후 소득 공백입니다. 최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제도를 통해 종신보험 가입자라면 이제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전환해 수령할 수 있게 되었습
today-present.kr
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 신청방법·조건·서류·혜택·사용처 총정리
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단기 운영자금 지원 카드로 비즈플러스카드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. 최대 1,000만 원 한도로 발급되며, 연회비/보증료 면제, 무이자 혜택, 최대 10만
today-present.kr
소상공인 배달택배지원 30만원 신청·증빙서류·지급시기 총정리
2025년 5월 19일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이 수정 시행됩니다. 특히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최대 30만 원의 배달·택배비를 신속 지원하는 제도인데요. 이번 글에서는
today-present.kr
소상공인 정책자금 부담경감크레딧 50만원 신청 및 사용 방법
2025년 정부는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부담경감크레딧 50만 원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. 이번 지원금은 단순한 현금성 지원이 아니라, 카드에 등록된 크레딧 포인트로 지급되어
today-present.kr
상생페이백 신청방법 (+ 누리집,온누리상품권,환급,복권)
최근 정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2025년 하반기 소비 진작을 위한 ‘상생페이백’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 2024년 카드 사용액보다 2025년 9월~11월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%를 온누리상품권으
today-present.kr